청년안심주택이란 통학 및 통근이 편한 역세권 및 간선도로변에 주택을 공급하는 사업입니다. 청년안심주택 자격은 만 19 ~ 39세 대학생, 청년, 신혼부부입니다. 청년안심주택 공공임대 임대료는 시중 임대료의 30% ~ 50%로 지원됩니다.
청년안심주택 자격
청년안심주택 자격은 만 19세 ~ 39세 무주택자 대학생, 청년, 신혼부부입니다. 청년안심주택은 한 단지 내에 공공임대와 공공지원 민간임대 세대가 혼합되어 있습니다. 임대료 수준은 공급유형, 지역 및 면적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.
< 청년안심주택 임대료 수준 >
- 공공임대 : 주변시세 대비 30 ~ 70% 수준
- 민간임대(특별공급) : 주변시세 대비 75% 이하
- 민간임대(일반공급) : 주변시세 대비 85% 이하
청년안심주택 공공임대
청년안심주택 공공임대 소득 및 자산기준은 청년, 신혼부부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습니다. 아래의 표를 확인해 주시길 바랍니다. 청년안심주택 임대료는 시중 임대료의 30~ 50%입니다. 거주기간은 최초 2년, 최장 6년입니다. 입주 후 혼인시에는 최장 20년까지 거주할 수 있습니다.
< 청년 >
구분 | 1순위 | 2순위 | 3순위 |
생계,주거,의료수급자 한부모가족, 차상위계층 |
|||
소득 (범위) | 본인과 부모 | 본인 | |
소득 (기준) | 100% 이하 | 100% 이하 | |
총자산 | 34,500만원 이하 | 27,300만원 이하 | |
자동차가액 | 3,708만원 이하 | 3,708만원 이하 |
< 신혼부부 >
구분 | 신혼부부 1 | 신혼부부 2 | ||
소득 | 시중시세의 30~50% 수준 임대보증금 및 임대료 -월평균소득50%이내 및 수급계층:시중시세 30% -월평균소득70%이내: 시중시세 50% |
시중시세의 60~70% 수준 임대보증금 및 임대료 -월평균소득 80%이내 및 수급계층:시중시세 60% -월평균소득 100%이내: 시중시세 70% -월평균소득 120%이내: 시중시세 70% |
||
순위 | 1~3 순위 | 1~4순위 | 5순위 | |
총자산 | 34,500만원 이하 | 34,500만원 이하 | 36,200만원 이하 | |
자동차가액 | 3,708만원 이하 | 3,708만원 이하 |
순위 | 선정기준 | |||
1순위 | -신생아 가구 / 보호대상 한부모가족 | |||
2순위 | -임신 중이거나 출산, 입양으로 자녀가 있는 (예비)신혼부부 -1순위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6세 이하 자녀를 둔 한부모가족 |
|||
3순위 | -자녀가 없는 (예비)신혼부부 | |||
4순위 | -1순위, 2순위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사람 중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혼인가구 | |||
5순위 | -그 밖의 혼인가구 |
청년안심주택 신청
청년안심주택 공공임대 신청은 'SH공사 홈페이지'에서 가능합니다. 공공지원 민간임대는 사업자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합니다. 신청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.
< 청년안심주택 신청절차 >
- 입주자 모집공고
- 청약신청 접수
- 서류심사 대상자 발표
- 대상자 서류제출 소득 및 자산조회
- 소득자산 소명
- 당첨자발표 후 계약 체결
< SH공사 홈페이지 바로가기 >
여권 재발급 준비물, 비용 & 온라인 신청
여권 재발급에 필요한 준비물로는 여권발급신청서, 여권용 사진, 신분증 등이 필요합니다. 그리고 비용은 성인인 경우 47,000원 ~ 50,000원입니다. 여권 재발급 온라인 신청은 '정부24' 홈페이지 또
world-information-share.tistory.com